독서지도사는 올바른 독서 습관과 스스로 독서하는 태도의 형성에 있어 옆에서 조력자 역할을 하는 전문가에요.
독서란 단순히 문자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해독 과정이나 단순한 의미 전달 과정을 넘어 독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글을 분석하고 종합하며 추론하고 판단하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고도의 사고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독서에 이해는 의사 소통, 정보의 획득 및 처리, 바람직한 정서 및 가치관 함양 과정 등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의사 소통 과정에 있어서는 문자 언어를 통한 발신자와 수신자의 의사 소통 과정, 독자는 텍스트를 읽으며 생기는 반응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는 거죠.
정보의 획득 및 처리를 위한 사고 과정에서는 독자는 독서를 통해 삶에 필요한 정보와 지적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읽는 사람의 정서와 가치관이 변해가는 과정, 예술적 감각과 윤리적인 문제, 가치관의 문제가 담겨 있는데요.
이를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독자 나름대로의 생각과 사고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발달하는 것이 중요해요.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은 주체적이며 능동적인 사고를 하는 인재를 원하고 있는데요.
영상 매체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경우 문해력, 어휘력이 현저히 부족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요.
또한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년 시기에 독서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독서지도사의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거죠.
독서지도사는 우선 독서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독서의 가치와 필요성을 알아야 하고 독서를 즐길 수 있어야 하는 거죠.
덧붙여 지도사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동기를 높이고 가르치는 대상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 해요.
독서 수업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다른 관점에서 보면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한 상담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잖아요?
그래서 경청하는 태도와 이해의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글에 대한 감상과 반응을 이끌어 낼 줄 알아야 해요.
https://blog.naver.com/wwwleiorkr/223202232094